본문 바로가기

토철학이야기

(178)
헤이메리쿠스 데 캄포 (Heymericus de Campo) <토마스철학학교 철학사전> 헤이메리쿠스 데 캄포 (Heymericus de Campo, 1395-1460) : 네덜란드 출신의 헤이메리쿠스 데 캄포는 1395년 태어나 1460년 사망하였다. 그는 알베르투스 마뉴스(Albertus Magnus)의 부흥을 도운 파리 대학에서 수학하였다. 이후 그는 쾰른과 루뱅에서 가르쳤으며, 쾰른의 알베르투스 노선의 초석을 다진 ..
스테파누스 알렉산드리누스 (라틴어 Stephanus Alexandrinus, 영어 Stephanos of Alexandria) <토마스철학학교 철학사전> 스테파누스 알렉산드리누스 (라틴어 Stephanus Alexandrinus, 영어 Stephanos of Alexandria) 스테파누스는 7세기 비잔틴의 철학자이며, 천문학자 그리고 교수이다. 그는 헤라클리우스(Heraclius 610-641)의 제위 기간 공적인 교수였다. 그 수사본에서 그는 보편적 철학자(the Universal Philosopher)로 불리고 있다...
다비드 <토마스철학학교 철학사전> 다비드 (David) : 다비드는 6세기의 그리스 철학자이며, 아리스토텔레스와 포르피리우스의 주해가이다. 그는 아마도 테살리아(Thessaly)출신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후 그는 같은 이름의 아르메니아인인 다비드(David Anhaght)과 혼돈되기도 했다. 그는 6세기 알렉산드리아의 올림피오도루스(Olympio..
유학장의 지중해 연안 중세 철학 이야기 1 - 들어가는 말 ‘방’(room)에 들어간다. 방은 열린 공간이다. 닫힌 공간, 즉 들어가지도 나가지도 못하는 공간으로 ‘방’이라고 부를 순 없다. 상상해보자. 들어가기도 나가지도 못하는 안방이나 서재(書齋)가 가능한가? ‘방’이 되기 위해선 열린 공간, 즉 하나의 공간이 자신을 열고 있어야 한다. 그..
실체가 존재하는가? 13세기 오캄 이후 오캄의 면도날은 그의 후배들에 의하여 더욱 더 강하고 잔혹해진다. 심지어 실체의 존재를 의문하고 잘라내려 한다. 요즘 읽는 글을 보면서 참 대단하단 생각이 든다. 너무나 당연하던 실체가 의문의 대상이 되어 버리는 것이다. 앞으로 오캄을 체계화하겠지만 후기 중..
스콜라주의 <토마스철학학교 철학사전> 스콜라주의 (영 Scholasticism) : 스콜라주의는 1100년에서 1500년경에 이르는 기간 동안 중세 유럽의 대학에서 활동한 학자들에 의하여 구성된 비판적 사고 방법이다. 스콜라주의는 처음 초기 유럽 대학들에 있던 그리스도교 수도회 학교로부터 시작되었다. 유럽에 등장한 첫 대학들은 대체로 ..
스토아 철학 <토마스철학학교 철학사전> 스토아 철학 (그리스어 : Στωικισμ&#972;&#962;, 영어 : Stoicism) 스토아 철학은 제논(Zeno of Citium)이 기초한 헬레니즘 시기에 등장한 새로운 철학의 사조 가운데 하나이다. 그 이름은 벽화로 치장된 아테나이의 아고라에 있던 회당 복도(&#942; ποικ&#943;λη στο&#940;)에서 기인한..
이사고게 혹은 에이사고게 (Εἰσαγωγή) 토마스철학학교 철학사전 이사고게 혹은 에이사고게 (Ε&#7984;σαγωγ&#942;) : 흔히 ‘이사고게’라고 하며, 이 책은 포르피리우스(porphyrius)가 작성한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범주론』(Categoriae)에 대한 ‘안내서’다. 암모니우스 삭카스(Ammonius Saccas) 등이 전하는 바에 의하면 이 책은 268년에서 270년 사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