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철학이야기 (178) 썸네일형 리스트형 히스토리아 스콜라스티카(Historia Scholastica)란 무엇인가? 히스토리아 스콜라스티카(Historia Scholastica) : 히스토리아 스콜라스티카는 12세기 대략 1173년 경 페트루스 꼼메스토르(Petrus Comestor) 작성한 석의(paraphrase)다. 흔히 '중세 대중 성서'(Medieval Popular Bible)라고 불린다. 당시 성서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참고서로 사용되었다. 성서학의 역사에.. 오도 리갈두스(Odo Rigardus) - 중세 프란치스코회 출신 철학자들 2 오도 리갈두스 (Odo Rigardus1205/1210~1275) 13세기의 그리스도교 개혁자이기도 한 오도 리갈두스는 1205년 혹은 1210년 태어나 1275년에 임종한다. 그는 프란치스코 수도회 수사의 신분으로 파리 대학을 다녔다. 그러면서 그는 당시 많은 비슷한 상황의 사람믈과 마찬가지로 헤일스의 알렉산더의 문.. 라 로셀의 요한 : 중세 프란치스코 수도회 철학자들 1 라 로셀의 요한 (John of La Rochelle, 1200?-1245) : 아비첸나를 손에 든 알렉산더의 제자 라 로셀의 요한은 헤일스의 알렉산더의 제자이며, 그 가운데도 모범생이었다. 그는 파리대학에서 신학석사를 마쳤으며, 그의 지도 교수 가운데 알렉산더가 있었다. 그는 알렉산더에 이어 1238년 학장이 된다... 시공사 에코 중세 시리즈 <중세>1에 대한 저의 리뷰, 현대의 모태 중세, 그 억울함을 풀다! 제가 시공사의 요청으로 적은 중세>1의 리뷰입니다. 에스24 사이트에서도 확인 가능하십니다. 토마스철학학교 오캄연구소 유대칠 소장의 이름으로 나온 글이라서 우선 이곳에 올립니다. 중세> 1, 현대의 모태 중세, 그 억울함을 풀다! 중세는 억울하다. 중세는 결코 이성(理性)이 잠들어버린 어둠의 시기가 아니었다. 광신에 빠진 이들이 여기저기에서 마녀사냥과 화형을 즐기는 차디찬 겨울과 같은 시기도 아니었다. 현실에 대한 관심 없이 초현실적인 것만으로 추구하며 살아간 시기도 아니었다. 고대 그리스의 유산인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의 성과를 무시한 채, 그저 신앙만을 외친 시기도 아니었다. 이런 눈으로 중세를 본다면, 중세는 정말 억울하다. 만일 중세가 이러한 시기라면, 중세는 인류 역사상 가장 암울한 차디찬 어.. 토마스철학학교 오캄연구소가 글벗을 모집합니다! 오캄연구소는 월후원금 만원으로 '글벗'을 연중수시로 맞이하려 합니다. 글벗분들에겐 라틴어 초급 강의록과 라틴어 고전 가운데 발췌 번역하여 고대에서 중세 근대로 이어지는 사상사에 대한 강의록도 종류에 따라 매주 혹은 격주로 보내드리릴 계획입니다. 후원글벗이 아닌 글벗분들.. 토마스철학학교 오캄연구소가 움직입니다. 정말 저의 번역물이 책이 되려나 봅니다. 어제 늦은 잠을 자고 오늘 아침에 일어나 계약서라는 것을 들어 봅니다. 정말 저의 번역물이 책이 되려나 봅니다. 계약서를 보면서 그것이 정말 현실이 되는구나 생각하게 됩니다. 아직도 오캄연구소는 작기만 합니다. 마땅히 가진 것이 많지 않.. 요한 페트리트시 (Ioane Petritsi, 그루지아어 იოანე პეტრიწი) 비잔틴 철학자 토마스철학학교 철학소사전 요한 페트리트시 (Ioane Petritsi, 그루지아어 იოანე პეტრიწი) 요한 페트리트시 (Ioane Petritsi, 그루지아어 იოანე პეტრიწი)는 흔히 그의 이름이 라틴어로 Johannes Petritzi로 옮겨지는 인물이다. 또한.. 오캄연구소 유소장의 중세철학사들 첫 시간 오캄연구소 유소장의 중세철학사들첫 시간 – 과거에 대한 접근 <자유로운 인용은 가능하지만 출처를 분명히 해주세요. 이 강의는 De Libera의 중세철학사를 기본 교재로 이루어지는 오캄연구소의 2015년 중세철학사 강의의 강의 정리 노트입니다.> 아무렇지도 않게 우린 서기 2015년.. 이전 1 ··· 4 5 6 7 8 9 10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