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현대철학의자리

(11)
페트루스 판 마스트리히트(Petrus van Mastricht), 개신교 스콜라학자 페트루스 판 마스트리히트(Petrus van Mastricht), 개신교 스콜라학자 유대칠 (토마스철학학교 오캄연구소) 정리 페트루스 판 마스트리히트(Petrus van Mastricht)는 위트레흐트(Utercht) 대학의 신학 교수다. 그는 그리스도교의 전통적인 세계관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면서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
헤겔의 역사 철학 1.0 헤겔의 역사철학이란 무엇인가? 그에게 역사철학이란 역사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die denkende Betrachtung)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주어진 역사저긴 사실을 그래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사유라는 잣대를 가지고 영원한 존재를 인식하고자 하는 것이라 하겠다. 2.0 헤겔의 역사관에..
스피노자 정리 <토마스철학학교 철학 사전> 스피노자 (Baruch Spinoza 혹은 Benedict de Spinoza) : 1632년 태어나 1677년 죽은 유대계 네덜란드 철학자다. 그가 죽고 나서 많은 이들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고, 그가 살아있던 시간 동안 충분한 대접을 받지 못한 불운의 철학자다. 18세기 계몽주의자(Enlightenment)와 성서 비평(modern biblical criticism)을 ..
게티에의 문제(The Gettier problem) 정리 게티에 문제의 정리 유대칠 정리 현대 지식 이론(theory of knowledge) 혹은 인식론을 다루면서 게티에(E. Gettier)가 던진 화두(話頭)에 무관심할 순 없다. 그렇다면 현대 인식론을 다루기 전에 우선 게티에의 문제(The Gettier problem)를 정리해 보는 것이 먼저겠다. 이 문제를 다음과 같이 각..
바디우의 (전후) 프랑스 철학의 모험 프랑스 철학의 모험 (The Adventure of French Philosophy, New Left Review 35) 알랭 바디우 적고 유 대칠 옮기다. (토마스 철학 학교 틀 밖) [역자는 현대 프랑스 철학 전공자가 아니다. 단지 인터넷을 돌아다니다가 우연히 익숙한 이름, 사실은 들뢰즈를 검��하다 우연히 발견한 알랭 바디우의 그리 길지 않은 글을 ..
들뢰즈 스피노자 강의 1980년 12월 21일 들뢰즈 읽기 들뢰즈 강의 스피노자 1980년 12월 21일 존재론-윤리학 유대칠 옮김 (토마스철학학교) [이 글은 토마스철학학교 틀밖 교실 토요 고전 강좌의 일환으로 번역되었다. 원문은 www.webdeleuze.com의 것이다. 초벌번역입니다. 완전하지 않습니다.] 순수 존재론의 기획에서 스피노자는 어떻..
20세기의 실존철학에서의 인간관을 음미함 20세기의 실존철학에서의 인간관을 음미함 -볼안의 철학- 유대칠 &lt;토마스철학학교&gt; 서론 21세기의 시작에서 지난 20세기를 돌아본다는 것이 단지 지난 일에 대한 향수로 이해되어지지 않기를 바란다. 또한 20세기 그 혼란의 시기를 대변하는 실존철학을 논함으로서그 시기의 사상에 대..
가다머의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황재원 옮김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1978 1929년에 하이데거의 프라이부르크 교수취임 강의는 그의 일에 있어서 우수한 결과로써 결정되었다. 대학의 강연에서, 오래된 모교 프라이부르크의 교수들과 학생들에게 연설을 하였으며, 하이데거의 이전에로 넘어가서 1929년 그가 있을 때로 올라가서-그 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