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철학의자리 (11) 썸네일형 리스트형 칸트의 초기 저작과 존재론적 배경 칸트의 초기 저작과 존재론적 배경 유대칠 (토마스철학학교) 1. 칸트 철학에서 전-비판서 시기의 의미 어느 날 갑자기 칸트는 {순수이성비판}을 적은 것이 아니다. 그는 그 집필 이전 모든 시간의 결과로 {순수이성비판}을 적었다. 그렇다면 그 이전의 그가 우리가 아는 그를 만들어간 재료가 되었다고 .. 가능 세계 존재론의 이해 http://cuth.cataegu.ac.kr/~sophia/cgi-bin/spboard/board.cgi?id=ydc1&action=download&gul=79 가능 세계 존재론의 이해 -크립키와 루이스의 논의를 쫓아서 유대칠 (토마스철학학교) 1. 들어가면서 가능 세계가 철학의 문제로 등장하게 된 것은 라이프니츠(Leibniz)부터이다. 그러나 현대 철학을 하는 우리에게 이 논의가 본.. 흄의 인과론과 전통 인과론자와 우인론자들 http://cuth.cataegu.ac.kr/~sophia/cgi-bin/spboard/board.cgi?id=ydc1&action=download&gul=54 토마스 철학 학교 근대 철학 자료 2003.07 흄의 인과론과 전통 인과론자와 우인론자들 유대칠 (토마스 철학 학교) 1.0 흄(D.Hume)이라고 한다면, 우리는 그의 인과이론을 생각하게 된다. 우리는 여기에서 그의 인과이론을 중..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