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철학의자리 (98) 썸네일형 리스트형 예수회는 중세와 근대를 철학적으로 이어준 가교가 되기도 했다. 한국어로 쓰인 많은 연구서들이 필요하다. 아직 많은 경우는 이런 저런 경로를 통하여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아쉬운 경우가 아주 많다. 나란 사람이 어떤 도움이 될지 모르지만... 그래도 할 만큼은 하고 싶은 일을 해야겠다. 내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도미니코회의 프란시츠코 .. 후기 중세 철학자들의 철학 방법론 - 면도날 사용법 후기 중세 철학자들의 철학 방법론 - 면도날 사용법 유대칠 생각하고 정리함 (토마스철학학교) 철학을 함에 있어서 필요 이상의 것을 가정하고, 그것을 실재하는 것으로 여기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흔히 윌리엄 오캄(William Ockham)의 면도날 혹은 면도칼로 유명하다. 그러나 그보다 앞선 시.. 라틴어 <원인론> Liber de causis Auctor incertus Liber de causis I. 1 Omnis causa primaria plus est influens super causatum suum quam causa universalis secunda. 2 Cum ergo removet causa universalis secunda virtutem suam a re, causa universalis prima non aufert virtutem suam ab ea. 3 Quod est quia causa universalis prima agit in causatum causae secundae, antequam agat in ipsum causa universalis secunda quae seq.. 유학장만의 중세 형이상학 이야기1 유학장만의 중세 형이상학 이야기 1 [이 글은 나만을 위한 글이다. 혹시나 수준 미달이니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할 것이면, 읽지마라. 읽어달라고 하지 않았다. 그냥 훌륭한 분들의 좋은 글들이 가득한 세상이다. 그분들의 글을 읽어라. 이 글은 근본적으로 나만을 위한 나만에 의한 글이다. ..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수용과 13세기 유럽 철학의 논쟁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수용과 13세기 유럽 철학의 논쟁 유대칠(토마스철학학교학장) 1.0 서론 우리 나라는 지난 1세기간 정신문화의 혼란을 경험했다. 그것은 우리 역사상 그 유래를 찾아 볼 수 없는 그러한 전환이었다. 이는 고려조가 조선조로 넘어가면서 느낀 그 사상적인 차이, 즉 불.. 로마인 보에티우스의 음악 이야기 로마인 보에티우스의 '음악' 이야기 보에티우스(Boethius)는 로마인이다. 이것은 많은 것을 의미한다. 그는 로마 철학자의 큰 결실 가운데 하나이다. '로마'는 '그리스'라는 선배를 잘 소비하였다. 제국을 이루어졌지만, 로마는 많은 부분은 생산자이기보다는 소비자였다. 철학에서도 그렇다.. 스코투스의 면도날! 후기 중세 철학들에게 필요성과 철학 방법론의 문제 스코투스의 면도날! - 후기 중세 철학자들에게 필요성과 철학 방법론의 문제 유대칠 생각하고 정리함 (토마스철학학교) 철학을 함에 있어서 필요 이상의 것을 가정하고, 그것을 실재하는 것으로 여기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흔히 윌리엄 오캄(William Ockham)의 면도날 혹은 면도칼로 유명하다.. 오캄의 보편자 입장의 전환 오캄의 보편자 입장의 전환 유대칠 (토마스 철학 학교) 한 철학자가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한 문제에 동일한 입장을 고수하진 않는다. 많은 경우 입장은 달라진다. 예를 들어, 토마스 아퀴나스의 의지(vunluntas)와 지성(intellectus)의 관계도 연대기적 구분을 하곤 한다. 이러한 경우는 오캄에.. 이전 1 2 3 4 5 6 7 8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