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79)
알베르투스의 발생론(태아생성)에 관하여 http://cuth.cataegu.ac.kr/~sophia/cgi-bin/spboard/board.cgi?id=ydc1&action=download&gul=42 토마스 철학 학교 중세 철학 자료 2003.07. http://wissen.com.ne.kr 알베르투스 마뉴스의 발생론에 관한 연구 유대칠 (토마스 철학 학교) 1.0 보편적 박사(doctor universalis) 쉽게 만물박사(萬物博士)인 알베르투스 마뉴스(Albertus magnus)의 지..
아리스토텔레스의 기상학과 중세 이슬람의 유입 http://cuth.cataegu.ac.kr/~sophia/cgi-bin/spboard/board.cgi?id=ydc1&action=download&gul=41 토마스 철학 학교 중세 철학 자료 2003.04 아리스토텔레스의 {기상학}과 그의 아랍에로의 유입 유대칠 (토마스 철학 학교) 1.0 아리스토텔레스의 많은 저서 가운데 유독 {기상학}(Meteorologica)은 나의 눈에 그리 잘 들어오지 않은 책..
중세 철학에서 '변화'의 문제 http://cuth.cataegu.ac.kr/~sophia/cgi-bin/spboard/board.cgi?id=ydc1&action=download&gul=40 토마스 철학 학교 중세 철학 자료 2003.07. 아리스토텔레스 자연철학의 중세적 논의 1 -'변화와 운동'의 존재론적 상태에 관하여- 유대칠 (토마스 철학 학교) ㄱ. 중세 자연철학의 위치 중세 자연철학(自然哲學)은 도덕철학..
중세 존재와 본질의 구분 문제 http://cuth.cataegu.ac.kr/~sophia/cgi-bin/spboard/board.cgi?id=ydc1&action=download&gul=39 그냥 정리한 것입니다. 답답한 수준입니다. 중세 존재(esse)와 본질(essentia)에 관한 여러 가지 학설을 정리한 것입니다. 토마스 이후 존재(esse)와 본질(essentia)의 실재적 구분(distinctio realis)과 형식적 구분(distinctio formalis)의..
보나벤투라의 우주론 http://cuth.cataegu.ac.kr/~sophia/cgi-bin/spboard/board.cgi?id=ydc1&action=download&gul=38 이런것도 적어도되는 것인지... 정말 그냥 공부하다가 어떻게 호기심에 적은 글입니다. 보나벤투라의 우주관 유대칠 (토마스철학학교) 1.0 우주에 관한 인류의 관점이 이와 같이 이루어진 것은 그리 멀리지 않은 과거의 일이다...
초기 중세 개체화 이론의 성립과 전개 http://cuth.cataegu.ac.kr/~sophia/cgi-bin/spboard/board.cgi?id=ydc1&action=download&gul=36 중세 개체화 이론의 성립과 전개 그리고 그 철학적 의의 -오도, 길베르투스의 논리-존재론에 기초하여- 그냥 적은 것입니다. 완전히 요약 수준의 글입니다. 중세 개체화 이론의 성립과 전개 그리고 그 철학적 의의 -오도, 길베..
스코투스와 토마스의 마리아론 http://cuth.cataegu.ac.kr/~sophia/cgi-bin/spboard/board.cgi?id=ydc1&action=download&gul=35 스코투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마리아론에 관한 글입니다. 그냥 지적 호기심에 적은 것입니다. 스코투스와 토마스의 마리아론 유대칠 (토마스철학학교) 1.0 스코투스와 토마스를 이렇게 놓는 경우는 대개 대립적 논의를 행한..
유학장의 고대철학사노트 http://cuth.cataegu.ac.kr/~sophia/cgi-bin/spboard/board.cgi?id=ydc1&action=download&gul=13 유학장이 학부 3-4학년때 정리한 노트입니다. 지금은 많은 수정부분이 보이는군요... 고대철학사와 일부 동양철학사를 포함하고 있고 몇몇 토마스철학학교 식구들이 함께 수정을 하자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