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알링톤(Robert Alyngton) 간단
정리
로버트 알링톤(1398 사망)은 버얼리의 논리-존재론의 체계와 위클리프의 형이상학에 영향을 받은 인물이다. 그의 주요 저작으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 주해가 있으며, 이는 버얼리와 위클리프의 영향력이 강하게 드러나 있다.
알링톤은 버얼리와 마찬가지로 범주의 구분은 영혼 외부에 존재하는 사물의 모든 구분 가운데 우선된 것이라고 본다. 그리고 이차적으로 심적개념과 그것을 의미하는 발화 혹은 문자언어 사이의 구분을 의미한다고 본다. 실체는 실재적으로 양과 관계 등과 구별되어지며, 양은 실재적으로 실체와 성질과 구별되어진다. 그리고 관계도 그러하다.
알링톤은 보편자의 문제에서 신의 정신 가운데 관념은 형상적 보편자의 원인이며, 형상적 보편자는 지향적 보편자의 원인이다. 그리고 버얼리와 위클리프와 마찬가지로, 그는 형상적 보편자가 현실적으로 영혼 외부에 실존한다고 본다. 그리고 이는 단지 온건 실재론자들이 말하듯이 단지 가능성으로 있는 것이 아니다. 알링톤은 버얼리와 다르게 실재적으로 그것들이 그것들의 개별자와 동일하다고 한다. 즉 그는 유명론에 반대한 철저한 실재론을 구사하려 하였다.
제일 지향에서 얻은 본성은 그것들의 개별자와 동일하며, 제이 지향으로 얻은 것은 고유한 보편자이며, 이는 그것들의 개별자와 구별되어진다. 그러나 개별자와 보편자는 실재적으로 구별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논리에 의하면 단지 형상적으로 구별될 뿐이다.
알링톤은 옥캄과 뷔리당과 같은 유명론 혹은 개념론이 강하게 등장하면서 그에 대한 강한 반대파로 생각될 수 있다. 그의 존재론은 당시 강력한 실재론적 사유를 구사한 버얼리와 위클리프의 영향 속에 있으며, 또한 독자적 실재론을 구사하기도 한다. 그의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당시 유명론적 흐름의 경쟁적 논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유대칠 적음 2005
토마스철학학교'중세보기 > 중세철학자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캠프샬의 리차드 (Richard of Campsall) 간단 정리 (0) | 2005.08.25 |
---|---|
리차드 피츠랄프 (Richard Fitzralph) 간단 정리 (0) | 2005.08.25 |
메츠의 제임스(James of Metz) (0) | 2005.08.05 |
헤르메우스 나탈리스(Hervaeus Natalis) (0) | 2005.08.05 |
리딩의 요하네스(John of Reading) (0) | 2005.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