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로 읽는 중세 철학/한글 교부

아우구스티누스(어거스틴)의 '고백록' 1권 1.1~2.2 읽기 하느님을 어찌 부르며, 왜 부르는가? (유대칠의 슬기네집, 대구독서글쓰기)

고백록

Confessiones

 

아우구스티누스 씀

유대칠 옮김

 

1.1 하느님을 어찌 부를까?

주여, 당신은 위대하시며 찬양받기 합당하시나이다. 주님, 당신의 덕은 크고 크시며 당신의 지혜는 헤아릴 수 없나이다. 그리고 사람이란 주님 당신의 피조물에 지나지 않으니 주님 당신을 찬양하기를 원하나이다. 사람이란 죽을 도리밖에 없는 존재이며 자기 죄의 증거와 주님 당신께서 교만한 이를 물리치신다는 증거를 지니고 살아갈 뿐입니다. 이런 처지지만, 주님 당신을 찬양하길 원하나이다. 당신께선 우리를 당신을 향하도록 만드셨고, 우리 마음은 당신 가운데 쉴 때까지 쉬지 못하기에 우리는 당신을 찬양함으로 기뻐하도록 당신께선 우리를 이끄시나이다. 주님, 당신을 부르는 것이 우선인지 당신을 찬양하는 것이 우선인지, 또 당신을 아는 것이 우선인지 당신을 부르는 것이 우선인지, 깨우치게 해 주소서. 당신을 알지 못하온데 어찌 당신을 부르겠습니까. 모르는 이는 아는 줄 알고 불렀건만 실상 딴 것을 부르지 않겠습니까. 그렇다면 당신을 알기 위해 당신을 불러야 하는지요? 그런데 믿지도 않는 이를 우리가 어찌 부르겠습니까? 그리고 당신을 말하는 사람이 없다면, 어떻게 당신을 믿겠습니까? 주님 당신을 구하는 이라면 주님 당신을 찬양하지 않겠습니까? 그를 구하면 그를 만날 것이고, 그를 만나면 그를 찬양할 것입니다. 주님, 당신을 부르면서 당신을 구하겠다고, 당신을 믿으면서 당신을 부르겠나이다. 주님 당신에 대해 저희에게 알리셨기에 때문입니다. 주님, 제 믿음이 당신을 이렇게 부릅니다. 그 믿음이 주님 당신께서 저에게 허락하신 것이고, 당신의 아드님이신 사람의 아들을 통하여 그리고 당신을 알리는 강론하는 이들의 직무를 통하여 저에게 허락하신 것입니다.

 

2.2 왜 하느님을 부르는가?

그렇다면, 저의 하느님, 저의 주 하느님, 저는 어찌 당신을 불러야 하는지요? 주님 당신을 부른다는 건 당신을 제 안에 모시고자 합니다. 하지만 제 안에 저의 하느님이 오실 자리가 있는지요? 천지를 창조하신 하느님, 그런 당신을 제 안에 모실 자리가 있을지요? 주 저의 하느님이시여! 진실로 제 가운데 당신을 이해할 무엇이 무엇이라도 있을지요? 천지도 당신이 창조하셨는데, 그 천지 가운데 저를 창조하였는데, 어찌 하늘과 땅이 당신을 담아내겠습니까? 있는 것 중에 어떤 것도 당신 없이 있을 수가 없기에 있는 것이 어찌 당신을 담아내겠습니까? 저 역시 그렇게 있기에 당신이 제 안에 있지 않으시다면, 제가 있을 수 없기에 당신께 제 안에 오시라 청하는 게 도대체 무슨 의미겠습니까? 저는 아직 저승 저 아래 있지 않으나, 당신은 그곳에도 있으시고, 제가 지옥에 내려가 있을 때도 당신은 이미 그곳에 계십니다. 저의 하느님, 그러니 주님 당신께서 제 안에 있지 않으셨다면, 저란 이는 처음부터 있을 수 없었을 겁니다. 아예 있을 수가 없지요. 제가 주님 안에 있지 않았다면, 저는 정말 있지도 않았을 것 아닙니까? 왜냐하면 있는 모든 것이 당신으로부터, 당신을 통해, 당신 안에 있으니 말입니다. 그렇지요. 바로 그렇지요. 제가 주님 당신 가운데 있사온데 저는 도대체 어디로 당신을 불러야 하는지요? 주님 당신께선 어디에서 제 안으로 오십니까? 저의 하느님, 당신께선 “하늘과 땅을 가득히 채우고 있다”하셨는데, 제가 하늘과 땅 밖 어디로 가서 하느님 당신을 제게 오시라 하단 말이옵니까?

 

CAPUT PRIMUM. Deum vult laudare ab ipso excitatus. 

1. Magnus es, Domine, et laudabilis valde (Psal. 31.0660| CXLIV, 3): magna virtus tua, et sapientiae tuae non est numerus (Psal. CXLVI, 5). Et laudare te vult homo aliqua portio creaturae tuae; et homo circumferens 31.0661| mortalitatem suam, circumferens testimonium peccati sui, et testimonium quia superbis resistis (I Petr. V, 5): et tamen laudare te vult homo, aliqua portio creaturae tuae. Tu excitas, ut laudare te delectet; quia fecisti nos ad te, et inquietum est cor nostrum, donec requiescat in te. Da mihi, Domine, scire et intelligere utrum sit prius invocare te, an laudare te; et scire te prius sit, an invocare te. Sed quis te invocat, nesciens te? Aliud enim pro alio potest invocare nesciens te. An potius invocaris, ut sciaris? Quomodo autem invocabunt in quem non crediderunt? aut quomodo credent sine praedicante? (Rom. X, 14.) Et laudabunt Dominum qui requirunt eum (Psal. XXI, 27). Quaerentes enim invenient eum, et invenientes laudabunt eum. Quaeram te, Domine, invocans te; et invocem te, credens in te: praedicatus enim es nobis. Invocat te, Domine, fides mea quam dedisti mihi, quam inspirasti mihi per humanitatem Filii tui, per ministerium praedicatoris tui.

CAPUT II. Deum quem invocat in ipso esse, ipsumque in Deo.

2. Et quomodo invocabo Deum meum, Deum et Dominum meum? Quoniam utique in me ipsum eum vocabo, cum invocabo eum. Et quis locus est in me quo veniat in me Deus meus? quo Deus veniat in me, Deus qui fecit coelum et terram? Itane, Domine Deus meus, est quidquam in me quod capiat te? An vero coelum et terra quae fecisti, et in quibus me fecisti, capiunt te? An quia sine te non esset quidquid est, fit ut quidquid est capiat te? Quoniam itaque et ego sum, quid peto ut venias in me, qui non essem, nisi esses in me? Non enim ego jam in inferis, et tamen etiam ibi es. Nam etsi descendero in infernum, ades (Psal. CXXXVIII, 8). Non ergo essem, Deus meus, non omnino essem, nisi esses in me. An potius non essem, nisi essem in te, ex quo omnia, per quem omnia, in 31.0662| quo omnia (Rom. XI, 36)? Etiam sic, Domine, etiam sic. Quo te invoco, cum in te sim? aut unde venias in me? Quo enim recedam extra coelum et terram, ut inde in me veniat Deus meus, qui dixit: Coelum et terram ego impleo? (Jerem. XXIII, 24.)

 

유대칠 옮김 

 

[함께 교부 문헌과 스콜라 신학과 철학 문헌을 읽고자 하는 분들은 연락주세요. 철학이나 신학 하나도 몰라도 상관 없습니다. 전문가를 위한 시간보다는 이웃과 함께 마음 편하게 슬기가 담긴 글을 슬기롭게 읽으며 슬기를 구하는 이가 되어 읽고 싶습니다. 1~5만원 정기 후원도 강독 강좌 참여도 저와 토마스철학학교엔 큰 힘이 됩니다. 

(후원 계좌 카카오 뱅크 3333-16-5216149 (유대칠) )

대구에서 그리고 온라인으로 고전 독서(교부 문헌과 스콜라 신학과 철학 문헌 독서)와 철학 그리고 글쓰기 교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누구나 찾아와 편히 읽으며 공부할 수 있는 곳입니다. 철학이나 신학 그리고 고전어 몰라도 상관 없습니다. 조금의 부담도 없이 오셔서 배우시면서 공부하실 수 있습니다. 소소하지만 삶에 녹아드는 독서와 철학 그리고 글쓰기를 더불어 누리고자 한다면, 연락 주셔요. oio-4231-o266로 꼭 문자 먼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