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로 읽는 중세 철학/한글 토마스아퀴나스 (13) 썸네일형 리스트형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1부 12질문 12논항 - 우리는 자연 이성에 의하여 이 현생에서 신을 인식할 수 있는가?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1부 12 질문 12 논항 유대칠 (토마스철학학교 오캄연구소) 옮김 - 우리는 자연 이성에 의하여 이 현생에서 신을 인식할 수 있는가? 열두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자연 이성에 통하여 현생에서 신을 인식할 수 없어 보인다. Ad duodecimum sic pro..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1부 1 질문 2 논항 - 성스러운 가르침은 학문인가? 유대칠 옮김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1부 1 질문 2 논항 유대칠 (토마스철학학교 오캄연구소) 옮김 - 성스러운 가르침은 학문이 아닌가? 둘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성스러운 가르침은 학문이 아니라고 여겨진다. Ad secundum sic proceditur. Videtur quod sacra doctrina non sit scientia. 왜냐하면 모..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1부 1질문 1논항 - 신학은 철학 이외 또 다른 가르침이 필연적으로 가져야 하는가?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1부 1 질문 1 논항 유대칠 암브로시오 (토마스철학학교 오캄연구소) 옮김 - 신학은 철학 이외 또 다른 가르침이 필연적으로 가져야하는가? 첫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철학적 학문을 제외하면 더 이상의 다른 학문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 토마스 아퀴나스 시편 주해 1편 발췌 토마스 아퀴나스의 『시편 주해』 1편 이 시편은 (시편의) 전체 작품과 구별됩니다. 왜냐하면 (시편은) 제목을 가지지 않지만 그러나 실상 바로 (이 1편이) 전체 작품의 제목이기 때문입니다. 다비드는 또한 시편을 하나의 방식만을 고수하지 않고 상이한 감정에 따라서 그리고 기도하는 .. 토마스 아퀴나스의 개념에 대하여 In de interp. I. 2 n.5 오늘의 공부 단편~ 토마스 아퀴나스의 글. . . (이 글은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키보드로 작성되었다.)아리스토텔레스의 가르침에 따르면, 명사, 동사, 등은... 직접적으로 지성의 개념을 의미한다. 그것들의 의미 방식으로부터 명백하듯이, 그것들은 직접적으로 실재를 의미하지 않는다. 왜.. 토마스 아퀴나스 요한복음 주해 14장 2렉씨오 토마스 아퀴나스의 『요한복음 주해』 14장 2렉씨오 유 대칠 옮김 <토마스 철학 학교> “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입니다. 나를 통하지 않고서는 아무도 아버지께로 갈 수 없습니다.” 1868. 그가 말한 바와 같이 그 길은 그리스도 그 분 자신이며, 그렇게 .. 토마스 아퀴나스의 주의기도 주해 1 토마스 아퀴나스의 글을 오랜 만에 번역해 봅니다. 초벌이라서 남들 읽기 그렇습니다. 하지만 걱정 없습니다. 남들은 거의 읽지 않을 것이란 경험으로의 지식에 의하면 말입니다. 후훗...그냥 갑자기 중세의 성서 주해를 읽고 싶은데... 적당히 재미난 것을 찾다가... 후훗... 토마스 아퀴나.. 토마스 아퀴나스의 "대이교도대전" 3권 65장 신은 존재 가운데 사물을 보존한다. 대이교도대전 3-1 CP. 65 신은 존재 가운데 사물을 보존한다. n.1 한편 신이 그의 섭리로 사물을 지배한다는 것으로부터 그가 존재 가운데 사물을 보존한다는 것이 귀결된다. n.2 왜냐하면 그러한 모든 것은 어떤 것들의 지배와 관계하며, 이를 통하여 자기 목적을 달성한다. 왜냐하면 이에 의..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