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로 읽는 중세 철학/한글 아리스토텔레스

(11)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Categoriae)> 읽기 4장 (유대칠의 슬기네집 고전 읽기) Aristotelis Categoriae 아리스토텔레스 『범주론(範疇論)』 아리스토텔레스 씀 유대칠 옮김 4장 10개의 범주 IV. 낱말이 합성되지 않고 홀로 있을 때 그것은 ‘실체(οὐσίαν, substantia, 스스로 무엇으로 있음)’, ‘양(ποσὸν, quantitas, 얼마나 있음)’, ‘성질(ποιὸν, qualitas, 어떻게 있음)’, ‘관계(πρός τι, relatio, 서로 어떻게 쌍이 됨)’, ‘장소(ποὺ, ubi, 어디에 있음)’, ‘시간(ποτὲ, quando, 언제 있음)’, ‘자세(κεῖσθαι, situs, 어떻게 놓여 있음)’, ‘소유(ἔχειν, habitus, 가지고 있음)’, ‘능동(ποιεῖν, actio, 행함)’과 ‘수동(πάσχειν, passio, 당함..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Categoriae)> 읽기 3장 (유대칠의 슬기네집 고전 읽기) Aristotelis Categoriae 아리스토텔레스 『범주론(範疇論)』 아리스토텔레스 씀 유대칠 옮김 3장 류와 종 III. [b10] 어떤 것이 ‘토대(=주어)가 되는 어떤 것’에 대한 술어일 때, 그 술어가 된 것으로 말해지는 모든 ‘토대가 되는 것’에 대해서도 술어가 된다. 예를 들어보자. ‘사람’은 ‘이 사람’에 대한 술어가 되고, ‘동물’은 ‘사람’에 대한 술어가 된다. 그러니 ‘동물’은 ‘이 사람’에 대한 술어가 된다. 왜냐하면 ‘이 사람’은 ‘사람’이며 ‘동물’이기 때문이다. 류(類)에서도 서로 다르고 서로 위아래 종속관계에 있지 않은 경우, 형상에서도(τῷ εἴδει) 저마다 다른 ‘차이(種差, διαφοραί)’를 가진다. 예를 들어보자. ‘동물’과 ‘학문’은 서로 다른 형상에 따른 ..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Categoriae)> 읽기 2장 (유대칠의 슬기네집 고전 읽기) Aristotelis Categoriae 아리스토텔레스 『범주론(範疇論)』 아리스토텔레스 씀 유대칠 옮김 2장 토대가 되는 것 II. 말 가운데 일부는 합성(συμπλοκὴν)되어 말이 되고, 어떤 것은 합성되지 않아도 말이 된다. 예를 들어보자. “사람이 달린다”와 “사람이 이긴다”라는 말은 합성되어 말이 되었고, ‘사람’, ‘소’, ‘달린다’, ‘이긴다’는 합성되지 않아도 말이 된 것이다. [a20] ‘(무엇으로) 있는 것’ 가운데 어떤 것은 ‘토대가 되는 것(ὑποκειμένο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토대가 되는 것’에 의존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자. ‘사람’은 ‘토대가 되는 것’인 ‘이 사람’에 대한 말이 되지만, 이 ‘토대가 되는 것’ 안에 있지 않다. [설명: ‘사람’은 ‘유대..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Categoriae)> 읽기 1 (유대칠의 슬기네집 고전 읽기) Aristotelis Categoriae 아리스토텔레스 『범주론(範疇論)』 아리스토텔레스 씀 유대칠 옮김 1장 ‘동음이의(同音異義)’와 ‘동음동의(同名同義)’ 그리고 ‘파생어(派生語)’ I. [1a] 이름은 같아도 그 이름에 상응하는 뜻이 다른 것’을 두고 ‘동음이의(同音異義, Ὁμώνυμα)’라고 한다. 예를 들어, ‘진짜 사람’과 ‘초상 속 모양’은 모두 ‘동물(ζῷον)’이듯이 말이다. 이 둘은 동음이의라고 불린다. 왜냐하면 그것은 같은 이름을 가지지만 그 이름에 상응하는 뜻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만일 누군가 “이 둘은 동물이다”라고 할 때, 그것이 무슨 뜻인지 따지고자 한다면, 각각 다른 뜻을(λόγον) 제시하게 될 것이다. 이름은 같고 그 뜻도 같은 것을 ‘동음동의(同名同義, συνώνυμ..
아리스토텔레스의 명제론 1장 아리스토텔레스의 &lt;명제론&gt; 1장 유대칠 옮김 이 문헌에 대하여 더 좋고 훌륭한 한국어 번역인 김진성 선생님의 번역을 공부할 때 사용하기 바란다. 이 번역은 그저 나 개인과 나와 함께 고전 읽기를 즐기는 이들과 공부하기 위하여 개인적으로 번역한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 1-3장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 유대칠 옮김 훌륭한 김진성 번역이 있다. 그런데 이것을 굳이 내가 하는 것은 나의 공부 때문이다. 공부를 하기 위해 번역하며 공부하면 조금 더 진지하게 고민해지는 나의 나쁜 습성 때문이다. 훌륭한 각주와 부드러운 한글 어투를 읽기 원하는 이들에게 EJB출..
Boethius,'s de interpretatione ch.5 Boethius's De interpretatione ch.5 보에티우스의 &lt;명제론&gt; 5장 번역 유대칠 번역 [05] Est autem una prima oratio enuntiativa affirmatio, deinde negatio; aliae vero coniunctione unae. [또한 우선 한개의 문장(oratio)은 긍정 명제(enuntiativa affirmatio)이며, 다음이 부정 명제(negatio)이다. 또한 다른 문장은 접속사로 한개의 ..
Boethius' De interpretatione ch.4 번역 Boethius' De interpretatione ch.4 번역 유대칠 발췌 번역 이글은 역자의 개인적인 연구를 위하여 직접 번역한 것이다. 사용 시 출처를 분명히 해주긴 바란다. 자유로운 공간이 되길 바랍니다. [04] DE ORATIONE Oratio autem est vox significativa, cuius partium aliquid significativum est separatum (ut dictio, non ut affirmatio);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