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철학이야기/철학사전

보편 <토마스철학학교 철학사전>

보편 (universale) : 여럿에 대하여 서술될 수 있는 술어로 모든 인간 인식 가운데 일반적 용어 혹은 일반적인 관념들을 두고 하는 말이다. 예를 들어, “유민이는 인간이다그리고 예은이는 인간이다라고 할 때, ‘인간이란 개념 혹은 명사는 여럿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서술되는 보편 술어이며, 이를 두고 보편 혹은 보편자라고 한다. 중세 철학자들 가운데 불붙은 보편 논쟁은 바로 이러한 보편의 존재성에 대한 논쟁이다. 11세기 로스켈리누스(Jean Roscelin, 1050-1124)보편자는 발화(소리)일 뿐이다”(universal est vox)라고 하며 발화주의(vocalism)를 주장하며, 영혼 외부에 실존하는 것은 개체일 뿐이며 보편은 그저 소리일 뿐이라고 한다. 이러한 주장은 흔히 초기 유명론(nominalism)의 한 형태로 알려졌다. 12세기 아벨라르두스(Abelardus, 1079-1142)는 개념론(conceptualism)을 선보이기도 한다. 개념론에 따르면, 보편은 영혼 가운데 현존하는 개념이란 식이다. 즉 이 개념론에서 보편자는 단순한 발화 혹은 소리(vox)가 아닌 말(sermo) 혹은 개념(conceptus)인 셈이다. 여기에서 그 유명한 장미의 이름에 대한 논의가 등장한다. 개체로 감각적 대상이 되는 장미 없이 장미의 이름과 같은 보편은 여전히 유효한가를 묻는다. 이 경우 한 개체를 두고 장미라고 발언할 일은 없지만, 그러나 장미가 무의미한 말은 아니다. 14세기 오캄(William Ockham,1285-1349) 역시 보편자는 그저 발화로 보지 않는다. 그것은 개념이며, 그 개념이 어떠한 형태인지에 대하여 다양한 대안을 고민한다. 13세기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 1265-1308)와 같은 이의 입장은 실재론(réalisme)이라 불린다. 실재론에 따르면 보편은 단순한 개념도 발화도 아닌 일종의 실재이다. [유지승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