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칠의 라틴어 강좌
§ 5 인도유럽어족의 명사
우리가 접하는 라틴어 문법책엔 라틴어 명사가 주격(nominativus), 호격(vocativus), 소유격(genitivus), 여격(dativus), 목적격(accusativus), 탈격(ablativus) 6격 변화를 한다고 소개된다. 조금 더 깊이 있게 라틴어를 연구하고자 한다면, 이들 6가지 격에 ‘처격’(處格)도 포함해야 한다. 하지만 많은 경우는 소멸되어 지금 우리가 문헌으로 접하는 라틴어엔 잘 보이지 않기에 흔히 초학자를 대상으로 하는 라틴어 문법책엔 등장하지 않는다. 인도유럽어족은 기본적으로 라틴어 문법책에 등장하는 격변화 보다 더 다양한 종류의 격변화를 했다. 예를 들어, 산스크리트어는 기본적으로 8격 변화를 한다. 산스크리트어는 라틴어엔 사라진 ‘구격’(具格)과 ‘처격’(處格) 변화를 한다. 즉, 흔히 우리가 접하는 문법책의 6가지 격변화를 하는 라틴어보다 2개의 격변화를 더 한다. 라틴어 역시 더욱 더 과거엔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 등과 같이 보다 많은 격변화를 했지만, 전치사의 발달과 부사 등의 활발한 사용으로 서서히 사라지게 된다. 그러나 인도유럽어족의 8격 모두를 알아둔다면, 이후 산스크리트어나 팔리어 학습과 인도유럽어족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격 | 설명 |
주격 (主格) | 주격은 우리말로 ‘~은, 는, 이, 가’라고 읽힌다. 동사의 주체(a subject), 즉 동사가 행하는 행위와 동작 그리고 상태의 주체이다. 그렇기에 흔히 주어(the subject)로 사용되며, 주격보어로도 사용된다.
예> vidua laborat. 미망인이 일을 한다. vidua(미망인)은 이 문장에서 주어다. 주어는 주격을 취한다. |
목적격 (目的格) | 목적격은 우리말로 흔히 ‘~을’, ‘~를’로 읽힌다. 그러나 이렇게 간단하지 않다. 쉽게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의 대상(a object)라고 생각하자. 동작의 대상을 나타내는 문법적 요소가 바로 목적어(the object)이다. 그렇다면, 묻거나 청하거나 말하거나 배우거나 선택하거나 안다는 동사엔 무엇을 무엇으로 안다 혹은 배운다가 가능하기에 동작의 대상이 2개가 가능하다. |
구격 (具格) | 구격은 라틴어와 그리스어에선 사라진 격이다. 라틴어의 경우엔 부사어미인 -e의 형태로 변형되어 버렸다. 고전어인 라틴어와 그리스어를 익힌 학생들이 구격을 듣지 못한 것은 이들 언어에선 사라져버렸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도 유럽어족의 다른 고전어인 팔리어에선 구격을 발견할 수 있다. 구격은 기본적으로 동사 행위의 수단(a instrument)을 나타낸다. 우리말로는 ‘-에 의해, -으로’ 등으로 읽힌다. 우리의 영어 문법 학습의 경우, 수동태에서 행위자 또는 문맥상의 논리적 주체와 함께 사용되는 by 명사의 형태가 바로 구격의 모습과 유사하다 할 수 있다. |
여격 (與格) | 여격은 우리말로 ‘-에게’로 흔히 읽힌다. 동사의 동작으로 목적어를 준다라고 할 때, 받는 대상, 즉 준다는 행위의 대상을 여격으로 나타낸다. 흔히 영어 문법 학습 시 간접목적어로 배운 것이 이와 유사한 문법적 성질을 가진다. 라틴어와 그리스어 그리고 산스크리트어에서 여격이라고 하는 것도 직접적인 대상은 아니라고, 준다는 행위의 간접적인 대상이라 볼 수 있다.
예> terram ecclesie do. 나는 땅을 교회에 준다. |
탈격 (奪格) | 탈격은 우리말에선 ‘~으로부터’ 혹은 ‘~때문에’로 읽힌다. 좀 어렵지만, 분리, 이탈, 원인, 수단, 방법, 시간과 장소 등의 관계를 표시하는 것으로 ‘~으로부터’, 혹은 ‘~ 때문에’로 흔히 읽힌다.
예> papa ecclesiam carta confirmat. 교황은 카르타에 따라 교회를 인증한다. |
소유격 (所有格) | 소유격은 우리말로 ‘~ 의’로 읽힌다. 영어와 독일어 그리고 현대 인도유럽어족과 라틴어와 고전 그리스어와 같은 고전어에도 모두 남아있어 이해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예> terra ecclesie. 교회의 영토 filie vidue. 미망인의 딸들 |
처격 (處格) | 처격은 우리말로 시공간 가운데 ‘~에’, 혹은 ‘~관점에서’ 등으로 읽힌다. 처격은 라틴어에선 극히 일부 단어에만 남아있으며 사라졌으며, 고전 그리스어에서도 사라져 보이지 않는다. 라틴어 단어 가운데 남아있는 것으론 Roma의 처소격으로 Rōmae 정도이다. 그 이외 몇몇 단어에만 있으며 사라졌고,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에서 발견되는 격이다. |
호격 (呼格) | 호격은 라틴어, 고전 그리스어와 민중 그리스어 그리고 팔리어 등에서 모두 발견되는 것으로 무엇인가 혹은 누군가를 부르는 말과 감탄에 사용한다.
예> O! Maria! 오! 마리아! O! domina! 오! 여주인이여! O! regina! 오! 여왕이여! O! domine! 오! 주님! |
'라틴어와외국어학습의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대칠의 고전 그리스어 2 - 그리스어 명사 (0) | 2013.01.06 |
---|---|
유대칠의 라틴어 강좌 5 - 라틴어 명사와 격변화 (0) | 2013.01.04 |
유대칠의 라틴어 강좌 3 - 고대 이탈리아들과 라틴어 (0) | 2013.01.02 |
유대칠의 라틴어 강좌 2 라틴어 개괄 (0) | 2013.01.02 |
유대칠의 라틴어 강좌 1 라틴어를 왜 공부하는가? (0) | 2013.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