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트루스 올리비(Peter Olivi)의 아리스토텔레스에 관한 생각
유대칠 옮김
(토마스 철학 학교)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그리스도교 철학자다. 그의 논의는 상당 부분 그리스도교 신앙의 것과 조화되기 힘들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세 많은 철학자들은 나름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저마다의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입장들은 그들의 철학에 반영되었다. 비-그리스도교 철학자이지만, 아리스토텔레스를 강력한 영향력을 가졌으며, 무시하기 힘든 철학자였다. 어떤 의미에서 인간 지성의 최고점이란 칭송을 받기도 했다. 오캄, 둔스 스코투스, 토마스 아퀴나스 등 많은 철학자들이 그의 저작에 대한 주해를 남겼으며, 그의 철학적 논의에 대하여 깊이 성찰하였다. 그러나 스콜라 철학자들은 그의 비-그리스도교 철학자라는 것은 분명히 인지하고 있었고, 올리비는 신앙의 문제에서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드러낸다. 물론 올리비의 철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적 요소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그는 여전히 그를 인용하고 있으며, 그의 논변을 두고 고민한다. 하지만 신앙에 대한 입장에서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해 분명히 선을 긋고 있다.
α> Catherine König-Pralong "Olivi et le formalisme ontologique Lectures dAristote dAverroès et critique dAlbert, " in Pierre de Jean Olivi - Philosophe et théologien, ed. Catherine König-Pralong, Olivier Ribordy, Tiziana Suarez-Nani, (Walter de Gruyter, 2010) 135-168. 161.
β> Peter John Olivi. Quastiones in secundum librum Sententiarum, ed. B. Jansen (Quaracchi: Ad Claras Aquas, 1922) v. 3, Quaestio XVI, 342.
α> Aristoteles etiam non hic videtur ibi sentire, licet mihi non sit cura quid hic vel alibi senserit; cuius enim auctoritas et cuiuslibet infidelis et idolatrae mihi est nulla, et maximae in iis quae sunt fidei christianae aut multum ei propinquam.
| 또한 아리스토텔레스는 이것에 관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생각한 듯 여겨지지 않는다. 비록 나에게 그가 이것 혹은 다른 것에 관하여 무엇을 생각하였는지를 고려의 대상이 아니지만, 그의 이교적이고 우상화된(idolatae) 모습과 그의 권위는 나에게 아무 것도 아니다. 특히나 이 문제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에 속하는 문제 혹은 그것에 대하여 다루는 것에서 말이다. |
β> decimum dicendum quod christiano viro sola scriptura sacra et fides catholica debet esse in robor et culmen auctoritatis; et ideo posito quod omnes pagani falso dicti philosophi contrarium senserint aut aliqui eorum, non est mihi cura. | 열 번째 논의에 대하여 그리스도교인에게 오직 성서와 보편적 신앙만이 권위의 핵심이고 최상의 상태라고 말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비록 철학자라 불리는 이교도들이 반대되는 것을 생각하거나 혹은 그 가운데 일부를 생각해도 나의 관심을 끌지 못한다.
|
<이 번역문의 무단 인용은 금합니다. 혹시나 인용시 꼭 토마스 철학 학교 블로그로 부터의 인용이란 출처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글로 읽는 중세 철학 > 한글 중세철학문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우프레두스 곤테리(Aufredus Gonteri), 창조와 존재 방식에 관하여 발췌 번역 (0) | 2011.11.29 |
---|---|
2011년 11월 29일 오전 09:46 (0) | 2011.11.29 |
지칭 관련 부분 발췌 번역 Placidus Retz, Philosophia - tomus 1 (0) | 2010.09.30 |
중세와 근대 스콜라 철학자들의 지칭론 간략 발췌 번역 (0) | 2010.09.30 |
지칭에 관한 부분 발췌 번역 Raffaele Aversa, Logica (Mascardi, 1623) (0) | 2010.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