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르툴리아누스 (3) 썸네일형 리스트형 평신도 교부 테르툴리아누스(터툴리안)의 <주님의 기도에 관하여 강론 3> (유대칠의 슬기네집) Tertulliani Liber De Oratione 테르툴리아누스 주님의 기도에 관하여 테르툴리아누스 씀 유대칠 옮김 III. [1] 아버지 하느님의 이름은 그 누구에게도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바로 이를 물었던 모세조차도 다른 이름을 들었습니다. 그런데 우리에게 아드님 가운데 드러난 겁니다. 이미 아드님께서 아버지의 새로운 이름이기 때문입니다. 이르시되. “저는 아버지의 이름으로 여기 왔습니다.” (요한의 복음서 5장 43절) 그리고 다시 이르시되, “아버지, 당신의 이름 영광스럽게 하소서!” (요한의 복음서 12장 28절) 그리고 또 이르시되 “제가 더 분명히 사람들에게 아버지의 이름을 드러냈습니다.”(요한의 복음서, 17장 6절) [2] 그러므로 우리는 그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소서”라고 기도.. 평신도 교부 테르툴리아누스의 <주님의 기도에 관하여 강론 2> (유대칠의 슬기네집) Tertulliani Liber De Oratione 테르툴리아누스 주님의 기도에 관하여 테르툴리아누스 씀 유대칠 옮김 II. [1] 우리가 ‘하늘에 계신 아버지(PATER QUI IN CAELIS ES)’라고 고할 때, 기도는 하느님을 향한 고백(testimonio)과 믿음으로 주어지는 이로움(merito fidei)으로 시작됩니다. 우리가 하느님께 기도드리며 우리가 믿음을 권할 때 그 믿음의 이로움이 다름 아닌 하느님을 ‘하늘에 계신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는 바로 이 호칭입니다. 이렇게 쓰여 있습니다. “하느님을 믿는 이에게는 하느님의 자녀라 불리는 특권을 주셨습니다.” (요한의 복음서 1장 12절) [2] 우리 주님은 하느님을 우리에게 아버지로 자주 선포하였습니다. 심지어 “이 땅의 누구도 아버지.. 평신도 교부 테르툴리아누스의 <주님의 기도에 관하여 강론 1> (유대칠의 슬기네집) Tertulliani Liber De Oratione 테르툴리아누스 주님의 기도에 관하여 테르툴리아누스 씀 유대칠 옮김 I. [1] ‘하느님의 영(Dei spiritus)’과 ‘하느님의 말씀(Dei sermo)’ 그리고 ‘하느님의 이성(Dei ratio)’ 그리고 ‘이성의 말씀(sermo rationis)’, ‘말씀의 이성(ratio sermonis)’, ‘이 둘의 영(spiritus utriusque)’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신약의 새로운 제자들을 위해 새로운 형태의 기도를 전하였습니다. 이는 “새 포도주는 새 가죽 부대에 담아야 하고, 새 옷은 새 천조각을 대고 기워야 하기” 때문입니다. (마태오의 복음 9장 16절) 더욱이 기존의 모든 건 할례와 같이 이젠 힘을 잃었고, 율법의 다른 남은..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