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의미론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야곱 토마시우스 (Jakob Thomasius) 초학도를 위한 논리학 문답(Erotemata logica pro incipientibus (1670) ) 지칭(suppositio)에 대하여 야곱 토마시우스 (Jakob Thomasius) 초학도를 위한 논리학 문답 Erotemata logica pro incipientibus (1670) 유대칠 (오캄연구소) 옮김 [이 번역은 유대칠이 곧 완역을 할 겁니다. 혹시나 인용을 하셔도 출처를 분명하게 적어 주세요. 오캄 연구소 유대칠의 지적 자산입니다. 중세 논리학에 대한 기본적인 .. 삭소니아의 알베르투스 실용 논리학(Perutilis Logica) 제 2 논구 삭소니아의 알베르투스 실용 논리학(Perutilis Logica) 제 2 논구 명사의 지칭에 관하여 1장 비복합적 명사들에 관하여(de terminis incomplexis) 논의한 후에 그러한 명사들의 속성 <혹은 지칭>에 관하여 다루어 보아야 한다. 그리고 먼저 지칭에 관하여 다루어야한다. 그런데 이것이 의도되어지.. 토마스 철학 학교 중세 철학 강독 6 요한 카예타누스의 ‘명목적 정의' 토마스 철학 학교 중세 철학 강독 6 요한 카예타누스의 ‘명목적 정의(명사의 무엇임)’ (Super Librum De Ente et Essentia Sancti Thomae) 유 대칠 옮김 (토마스 철학 학교) 번역문 실재적 정의(rei quid)가 실재의 무엇임(quidditas rei)이듯이, 명목적 정의(quid nominis)는 명사의 무엇임(quidditas nominis)이다. 또한 명사(nomen)..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