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 공책 1
라틴어 공책 1
라틴어를 익히는 것은 쉽지 않다. 하기사 다른 언어를 익히는 것은 쉬운 일이겠는가?
어려운 이야기를 그만 두고, 간단하게 라틴어 문법을 정리하면서, 글을 적어가는 이도 좋고 읽는 이도 라틴어에 대한 안목을 길러지면 좋겠다.
그리고 참고로 숫자는 숫자일 뿐이다. 숫자의 차례로 어려워지는 것이 아니라, 그저 나의 학습을 따라가는 것이다. 그래서 어려운 것이 먼저 나올 수도 있고, 쉬운 것이 뒤에 올 수도 있다.
단문(propositio simplex)
정의: 주어와 술어로 구성된 간단한 문장이다.
종류.
순단문=주어와 술어로만 구성
확장된 단문=주어와 술어 이외에 객어와 부가어 그리고 부사어 등 보충어로 구성.
cf. Discipuli ambulant in hortu
학생들이 정원을 거닐고 있다.
주어. 주체가 되는 말. 누가 혹은 무엇이에 해당하는 말.
ego sedeo = 나는 앉아 있다. 여기에서 ego, 즉 나는 주어이다.
하지만 라틴어는 sedeo에 이미 1인칭을 의미하기에 이러한 경우 인칭대명사를 생략하기도 한다.
ego amo
ego venio
등은 ego를 생략하여도, 이미 동사의 형태가 1인칭을 의미하기에 생략해도 무관하다.
술어. 주어에 대하여 서술되어지는 말.
virtus manet - 덕은 남아있다.
여기에서 manet은 3인칭을 담고 있는 술어이다. 이는 virtus라는 주어에 대하여 서술되어지는 술어이다.
urbs capta est - 도시는 점령되었다.
여기에서 도시는 주어이고, 술어는 capta est이다. 이 경우에 capta라는 술어는 수와 인칭에 있어서 주어와 일치해야하며, 성도 일치해야한다.
익히고 가기!
자립5격(ablativus absolutus)
정의: 속문의 동사가 부설명어를 가진 조동사 esse 인 경우에는 그것을 제거해버리고, 그 주어와 부설명어만을 5격으로 고쳐 놓는다. 이것을 자립5격이라 한다.
예를 보자.
cum puer essem, maximum bellum gestum est.
= me puero, maximum bellum gestum est.